안녕하세요 //
누구나 하루에 3번은 양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은 통풍을 잘 되는 곳에 둬야 한다 //
함께 말고 따로 보관해야 한다는 정도는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그리고 가장 애매 한 부분이 교체 시기는 언제가 가장 적절한가에 대한 부분일 것입니다. //
그래서 오늘은 칫솔 과리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소한 꿀 팁을 하나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30초 이상 뜨거운 물로 헹구기
양치 전과 후에 칫솔모를 뜨거운 물에 약 30초 헹구는 게 좋다. 수도꼭지에서 나올 수 있는 가장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치약을 칫솔에 짜기 전 칫솔모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양치가 끝난 후에는 깨끗한 손가락으로 칫솔모 사이를 벌려 흐르는 물로 모 사이에 낀 이물질을 빼준다. 이후 또다시 30초간 뜨거운 물로 칫솔모를 헹궈 마무리하면 된다. 이 부분은 정말 좋은 꿀팁 같아요(조금 번거로움이 있을 것 같은 느낌)
◇변기와 최대한 먼 곳에 보관하기
칫솔은 변기와 최대한 먼 곳에 두는 게 좋다. 변기 물을 내릴 때, 세균이 공기 중으로 퍼지기 때문이다. 실제 변기와 가까운 곳에 보관한 칫솔은 세균 오염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2011년 인도 치과연구 저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와 변기가 없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를 대상으로 칫솔모의 오염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한 칫솔에서만 사용 한 달 만에 황색포도상구균, 뮤탄스균 등이 검출됐고, 세 달 뒤에는 대장균까지 발견됐다. 칫솔을 화장실 밖에 두는 게 가장 좋지만, 그러기 어렵다면 변기와 되도록 먼 곳에 보관하자.
◇통풍 잘 되는 곳에 두기
칫솔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는 것도 중요하다.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습하고 축축한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욕실 서랍, 밀폐 용기와 같은 곳에 칫솔을 두면 안 된다. 특히, 밀폐 용기에 보관할 경우 칫솔에서 떨어진 물이 고여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다. 칫솔은 가능한 햇빛이 잘 비치고 바람이 잘 통하는 창가 쪽에서 보관한다. 칫솔 소독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만, 칫솔 소독기는 세균 증식에 취약해 소독기를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한다.
◇함께 말고 따로 보관하기
여러 개의 칫솔을 컵 등 한 개 용기 안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칫솔모끼리 닿아 칫솔 간 교차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교차오염이란 타인의 칫솔에 남아있던 미생물이 다른 칫솔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칫솔을 함께 보관할 때는 칫솔모가 닿지 않도록 최소 5cm 이상 떨어뜨려 보관하는 게 좋다.
◇3개월마다 교체하기
칫솔은 3개월마다 교체해야 한다. 3개월이 안 됐더라도 칫솔모가 마모됐다면 다른 칫솔로 바꾼다. 모가 상하면 치아를 세밀하게 닦을 수 없기 때문이다. 세균막인 플라그가 잘 제거되지 않아 잇몸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잇몸에 상처도 쉽게 난다. 실제 마모된 칫솔모가 플라그를 잘 제거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여럿 있다.
다들 칫솔관리와 치아와 잇몸 관리 잘해서 늙어서도 고기 뜯고 해야지요
잘 먹어야지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 수 있듯이 건강 관리 잘합니다.
오늘도 문문뚱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심플하게 소소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지원 및 포털/신청 방법 및 지급일/ (0) | 2023.05.06 |
---|---|
생애최초 취득세 환급/개정 및 안내 신청/ (0) | 2023.04.29 |
안대효과/수면효과/수면안대/기억력과 주의력 향상 (1) | 2023.04.11 |
다이어트 포만감 음식들 (2) | 2023.01.11 |
청년통장 # 청년들이 알면 좋은 통장 정보 2023년 확정 (0) | 2022.12.28 |
댓글